밀폐공간 질식 재해 집중 점검 알림
페이지 정보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밀폐공간 질식 재해와 관련하여 고위험 사업장(200개소)을
대상으로 8월 까지 집중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점검은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1. 점검 대상
고위험 사업장 200개소가 점검 대상이며,
이는 중소규모의 사업장들입니다.
2. 점검 기간
8월까지 진행되며, 특히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질식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점검을 실시합니다.
3. 주요 점검 사항
질식 재해 예방 3대 안전 수칙
1. 사업장 내 밀폐공간을 사전에 파악하여 출입 금지 및 위험 장소임을 고지
2.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안전한 상태가 아니라면 환기 등의 조치를 취함
3.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호흡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
- 밀폐공간 안전작업 절차 수립 여부와 그간의 운영 실태
- 질식 사고 발생 시 긴급구조체계 및 훈련 여부
4.점검 이유
밀폐공간 질식 재해는 매우 치명적이며,
최근 10년간 126명이 사망하였고,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점검을 실시합니다.
5.추가 조치
점검이나 안전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 안전보건 컨설팅과
재정 지원 사업을 사업장에 연계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점검을 통해 고위험 사업장에서의
질식 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사업주는 정부의 컨설팅
및 재정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합니다.
밀폐공간 질식 재해와 관련하여 고위험 사업장(200개소)을
대상으로 8월 까지 집중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점검은 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1. 점검 대상
고위험 사업장 200개소가 점검 대상이며,
이는 중소규모의 사업장들입니다.
2. 점검 기간
8월까지 진행되며, 특히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질식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점검을 실시합니다.
3. 주요 점검 사항
질식 재해 예방 3대 안전 수칙
1. 사업장 내 밀폐공간을 사전에 파악하여 출입 금지 및 위험 장소임을 고지
2.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안전한 상태가 아니라면 환기 등의 조치를 취함
3.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호흡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
- 밀폐공간 안전작업 절차 수립 여부와 그간의 운영 실태
- 질식 사고 발생 시 긴급구조체계 및 훈련 여부
4.점검 이유
밀폐공간 질식 재해는 매우 치명적이며,
최근 10년간 126명이 사망하였고,
특히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점검을 실시합니다.
5.추가 조치
점검이나 안전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경우, 안전보건 컨설팅과
재정 지원 사업을 사업장에 연계할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점검을 통해 고위험 사업장에서의
질식 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사업주는 정부의 컨설팅
및 재정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데 노력해야 합니다.
- 다음글온열질환 예방장비 및 온열환경 개선설비 사업 안내 25.02.07